일본 도쿄 오타구, 김 양식업을 하는 집안에서 태어남
마키구치 쓰네사부로 (1871-1944, 창가학회 초대 회장)와 도다 조세이 (1900-58, 창가학회 제2대 회장) 니치렌불법에 귀의(歸依)
마키구치의 <창가교육학체계> 제 1권 발간. 발행처는 창가학회의 전신(前身)인 창가교육학회. 이 책이 발간된 날이 창가학회 창립 기념일이 된다.
일본은 만주를 군사점령하고, 꼭두각시 정권인 만주국을 세운다.
일본의 중국대륙 침략 시작. 중일 전쟁(中日戰爭) 발발.
하네다 제 2 심상소학교 졸업.
하기나카 국민학교 졸업
소년노동부대의 일원으로 '니가타 철공소'에 취직
연합군의 도쿄 공습으로 인해 이케다家의 집이 화재로 불타버림. 가족 모두 임시 막사로 이동
이케다家 도쿄 오타구 오모리 미나미로 이주
쇼분도 인쇄소 취직
이케다家의 장남 기이치의 전사 소식을 통보 받음. 기이치는 버마(지금의 미얀마)에서 전사.
창가학회의 좌담회에 참석, 생애 스승이 될 도다 조세이 (1900-58)를 만남
니치렌불법에 입신(入信)
도요 상업고등학교 졸업
다이세이 학원 (현 도쿄후지대학) 야간부에 입학, 정치학 전공
도다 선생님의 출판사인 일본정학관 소년잡지의 편집자로 입사.
일본정학관 잡지출판 중단 후 도다 선생님의 새로운 회사 ‘도쿄건설 신용조합’ 입사
독일, 일본, 이탈리아 삼국 동맹 조약 체결
마키구치 창가교육학회 회장 취임
일본 진주만 공격, 태평양 전쟁 시작.
마키구치와 도다 치안유지법 위반과 불경죄 용의로 체포 수감된다.
마키구치 스가모의 도쿄구치소에서 노쇠와 극도의 영양실조로 옥사
미국 도쿄에 B-29 폭격개시
미국 ‘도쿄대공습’ 시작
도다 도쿄 토시마 구치소 출옥
미국 히로시마 원폭 투하
미국 나가사키 원폭 투하
일본은 연합군에 항복, 포츠담 선언 수용.
제2차 세계대전 종결
도다 ‘일본정학관’ 출판사 설립
UN 설립
창가교육학회를 창가학회로 개명. (전쟁 중 군사정권의 극심한 탄압으로 인해 3천 명이던 회원수가 급격히 감소)
일본 헌법 종교의 자유 보장
8월 도쿄건설 신용조합의 폐쇄 후, 도다 선생님의 새로운 사업 대동상공에서 근무 시작
대동상공 영업판매 부장으로 승진
시라키 가네코와 결혼. 도쿄 메구로 미타로 이사
청년부 실장으로 임명
장남 히로마사가 태어남
창가학회 섭외부장 취임
차남 시로히사가 태어남
아버지 네노키치 별세 (향년 68세)
오사카 선거위반 혐의로 부당하게 체포되어 구금 (이후 무죄판결)
감옥에서 출옥
막내아들 다카히로가 태어남
창가학회 이사로 임명
한국전쟁 발발
창가학회 기관지 세이쿄신문 초판 발간
도다 조세이 창가학회 제2대 회장 취임
창가학회판 니치렌 대성인 어서전집 발간. (호리 니치코 상인 편찬)
창가학회 종교법인으로 인증
한국전쟁 종전
미국 비키니섬에 수소폭탄 투하
소련 수소폭탄 실험 성공
창가학회 최초로 참의원 선거에 후보를 내보내 3명 당선
일본 UN 가입
도다 조세이 원수폭 금지선언
창가학회 회원수 75만 세대 달성
제2대 회장 도다 조세이 작고(作故)
창가학회 제3대 회장에 취임
창가학회 운동을 세계적 운동으로 확대하기 위한
첫걸음, 미국, 캐나다, 브라질로 해외지도 여행 출발
해외 지도 아시아 6개국 순방
해외 지도 유럽 9개국 순방
오사카 부경 ‘1957년 7월의 선거법 위반 혐의’ 무죄선고
도쿄 하치오지에 동양철학연구소 설립
해외 지도 중동 6개국 순방
일본 도쿄에 민음(민주음악협회) 설립
해외 지도 호주, 실론(현 스리랑카), 인도 순방
공명당 창립
오키나와에서 창가학회의 역사를 담은 소설 '인간혁명' 집필 시작
북남미 순방
파나소닉 창업자이자 경영철학의 베스트셀러 작가 마쓰시다 고노스케(1894-1989) 회장과의 첫 만남
오스트리아 사상가이자 유럽통합운동의 아버지 리하르트 쿠덴호프 칼레르기 백작(1894-1972)을 도쿄에서 만남. (1972년 대담집 ‘문명·동과서’ 발간)
소카학원 창립
도쿄에서 개최된 대학부 모임에서 중일국교정상화 제언 발표
창가학회 회원수 185만 세대 도달
독일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28년간 베를린市 분단
쿠바 미사일 위기
창가학회 회원수 360만 세대 달성
미국 의회 ‘통킹만 결정’ 미군의 베트남 전쟁 군사개입 착수
세이쿄신문 일간지로 발전
도쿄 하치오지에 소카대학교 창립
영국 역사학자 아널드 토인비(1889-1975) 박사의 런던 자택에서 박사와의 첫 만남. 이후 ‘21세기를 여는 대화’ 출간
후지산 부근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에 후지미술관 창립
프랑스 작가이자 정치가인 앙드레 말로(1901-76)와 도쿄에서 회담. 1976년 대담집 “인간혁명과 인간의 조건” 출간
중국 첫 방문
소련 첫 방문. 9월 17일 알렉세이 코시긴(1904-80) 총리와 회담
중국 방문 저우언라이(周恩來, 1898-1976) 총리와 회담
SGI (국제창가학회) 발족. SGI 회장 취임
세계 최초의 여성 우주 비행사이자 소련 여성 위원회 위원장 발렌티나 테레시코바와 모스크바에서 첫 회담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동서문화교류의 새로운 길’이란 주제로 강연. 동 대학으로부터 첫 명예박사 학위를 받음
홋카이도 삿포로 부근 히츠지가오카에 ‘소카유치원’ 개원. (창립자 이케다 다이사쿠)
어머니 이치 별세 (향년80세)
도쿄 고다이라에 소카초등학교 개교. (창립자 이케다 다이사쿠)
UN 제1차 군비축소 특별총회에서 핵폐기 10개조항 제출
창가학회 회장 사임. SGI회장 직은 지속
창가학회 회원수 750만 세대 달성
창가학회는 공식적으로 공명당 당원이 창가학회 간부 직을 맡지 않도록 결정. 공명당의 완전 자율성을 재확인.
중일국교 정상화
파리협정(베트남 평화협정) 공식 조인. 미국의 베트남전 군사개입 종식.
중소갈등 고조. 국경 부근에 소련병력이 배치됨에 따라 갈등은 최고조에 달한다.
4차 중동전쟁(욤 키푸르 전쟁) 발발
1973 석유파동(오일쇼크)시작. 제4차 중동전쟁 중 미국이 이스라엘에 군사 지원을 결정하자, 아랍 석유수출국 기구(OAPEC)은 통상금지령을 내린다. 1974년 3월 정전(停戰)
창가학회 청년부 원폭 피해자의 고통을 포함한 전쟁의 참상을 기록하는 반전 캠페인 시작. 이를 토대로 첫 반전 출판물 출간.
창가학회 청년부 ‘핵폐기 1천만 명 서명’을 UN에 제출.
51개국·지역의 대표가 괌에 모여 ‘세계 평화회의’개최. SGI 발족
호조 히로시 제 4대 창가학회 회장 취임
창가학회 청년부 평화위원회 발족
요코하마 도다평화기념관(반전 전시회관) 개관.
소련 아프카니스탄 침공(1979-89)
세계 예술문화원 주최 세계시인회의 ‘계관시인’ 칭호 수여
오사카 히라타가市 간사이 소카 초등학교 개교(창립자 이케다다이사쿠)
UN 제2차 군비축소 특별총회에서 핵무기폐지 제언 제출
제1회 평화제언 발표
UN평화상 수상
둘째 아들 시로히사 병사(病死) 향년 29세
도쿄 하치오지에 소카여자단기대학 설립
미국 캘리포니아 소카대학교 칼라바사스 캠퍼스 개교
노벨화학상,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 라이너스폴링 (1901-94)과 첫 회담, 대담집 ‘평생을 통한 평화의 추구’ 1990년 일본어로 출판. 이후 영어, 러시아어중국어, 스페인어, 그리고 프랑스어 등으로 출간.
UN 제3차 군비축소 특별총회에서 “완전 무장해제를 세계적 운동으로” 제언 제출
노벨평화상 수상자이자 반핵운동가인 물리학자 조지프 로트블랫(1908-2005)경과 오사카에서 첫 회담. 대답집 ‘지구평화를 위한 탐구’ 일본어로 출판(2006). 이후 영어, 독일어, 이태리어 등으로 출간.
창가학회 대학부 평화위원회 발족
창가학회 여성평화위원회 발족
창가학회 UN 난민기구(UNHCR) 구호단체 NGO 등록
호조 별세 (향년 58세).아키야 에이노스케 제5대 창가학회 회장 취임
창가학회 UN 홍보국 (UNDPI)에 NGO 등록
뉴욕 UN본부에서 열린 제2차 군비축소 특별총회, UN 군비축소캠페인의 일환으로 SGI '핵무기-현대세계의 위협'전 개최
SGI UN 경제사회 이사회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에 NGO 등록
이케다 선생님의 주도 하에 미군의 핵미사일 기지가 있던 오키나와연수원에 「세계 평화의 비」 제막. 냉전의 성벽이던 곳이 평화의 요새로 탈바꿈.
SGI 「전쟁과 평화전-전쟁의 세기에서 희망의 세기로」 해외 순회가 UN본부에서 시작 (UN 무장해제 위원회 후원, NGO기관 협찬)
베를린 장벽 붕괴
미국과 소련 정상이 몰타에서 정상회담, 냉전종식을 선언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과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첫 회담. 대담집 ‘20세기 정신의 교훈’ 일본어로 출판(1996) 이후 러시아어, 영어, 아이슬란드어, 독일어 그리고 한국어로 번역. 현재 두 번째 대담집을 준비 중이다.
첫 번째 한국 방문.
도쿄후지미술관 보유 서양회화를 해외 최초로 한국 호암갤러리에 ‘서양회화명품전’으로 개최.
개막식에서 이케다 선생님은
“귀국은 일본의 문화의 대은인입니다. 옛날부터 이 ‘조용한 아침의 나라’의 문화의 광채가 얼마나 선명하게 얼마나 풍요롭게 일본의 여명을 빛내주셨던 것입니까. 우리들이 소장한 서양회화를 해외에서 처음으로 공개하는 것도 부족하나마 은혜를 갚은 일분(一分)으로 된다면 하는 마음에서입니다.”라고 소감을 피력한다.
아프리카 민족회의(ANC), 반아파르트헤이트 운동 지도자 넬슨 만델라와 도쿄에서 첫 회담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이후, UN안보이사회는 1991년 1월15일까지 이라크군을 쿠웨이트에서 철군시키라고 경고한다. 소련 작가 칭키즈 아이토마토프, 영국 물리학자 버나드 벤슨, 로마클럽 회장 리카르도 디에즈 호흐라이트르, UNESCO 사무총장 리카르도 마요르 사라고사, 그리고 노벨 문학상 수상자 나이지리아 작가 월레 소잉카와 함께 긴급공동호소문을 작성 사담후세인 대통령에게 보낸다.
미국출신 바이올린의 거장이자 지휘자 예후디 메뉴인(1916-99) 경과 도쿄에서 회담
홍콩 소카유치원 창립
싱가폴 소카유치원 창립
미국 공민권 운동의 어머니 로자 파크스(1913-2005)여사와 미국 캘리포니아 LA에서 회담.
작가, 언론인, 인권투사이자 세계 인권선언문 기초에 참여한 故 아우스트레제지로 드 아타이데(1898-1993) 브라질 문학아카데미 前 총재와 리오 데 자네이로에서 첫 회담. 대답집 ‘21세기의 인권을 말한다’ 1995년 일본어로 출판. 이후 포르투갈어와 영어로 출간 (2009)
소설 ‘인간혁명’ 이후의 창가학회 역사를 담은 소설
‘신·인간혁명’ 연재 시작 (나가노현 가루이자와 연수원)
미국 매사추세츠 보스턴시에 '보스턴21세기센터' 설립 (2009년에 이케다국제대화센터로 개명)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에 말레이시아 소카유치원 창립
유명한 중국현대소설가 진융(金庸)과 그의 홍콩 저택에서 회담. 이후 대담집 ‘태양의 세기를 찾아서’ 일본어(1998), 중국어로 출판.
마키구치 교육재단 설립 (일본, 도쿄)
아르헨티나의 노벨평화상 수상자 아돌프 페레즈 에스키벨 박사와 도쿄에서 첫 회담. 대담은 동양학 학술지에 2007년부터 시리즈로 게재된다.
일본 도쿄에 도다국제평화정책연구소 설립(2017년 도다기념국제평화연구소로 개명)
중국 서예가이자 화가 팡 샤오링(1914-2006) 여사와 자올링(1914-2006)과 홍콩에서 대담
두 번째 한국 방문.
경희대학교 명예철학박사 학위 수여.
답사에서 이케다 선생님은
“오늘부터 저도 영예로운 귀 대학의 일원으로서 저 ’미소 짓는 사자’처럼 ‘제2의 르네상스’를 목표로 하여 나가겠습니다. 그리고 한일 양국, 또한 아시아ㆍ환태평양 청년들을 위하여 ‘교육’과 ’철학’의 대도를 더욱 깊게 더욱 넓게 열어 나갈 결의를 하고 있습니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세 번째 한국 방문.
국립제주대학교 명예문학박사 학위 수여.
답사에서 이케다 선생님은
“인간교육은 ‘생명’이라는 무상(無上)의 보배를 자타 공히 한없이 가치창조해 가는 ‘최고의 예술’이며 ‘영원한 성업(聖業)’입니다. 저는 귀 제주대학을 비롯하여 귀국의 선생님들과 함께 더 한층 힘을 합하여 ‘인간과 인간의 연대의 시(詩)’를, 그리고 ‘민중과 민중의 결합의 드라마’를 더욱더 창조하며 후세에 남겨 갈 것을 염원해 마지않습니다.”라고 소감을 피력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넬슨 만델라 출소. 소수백인정권과 아프리카 민족회의(ANC)간의 아파르트헤이트 해체 협상 시작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초대 대통령 취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이후, 이라크군이 쿠웨이트 철수를 거부하자, 미국 주도의 30개국 다국적 연합군 병력이 이라크 전쟁 (페르시이만 전쟁) 시작.
걸프전 휴전 선언. 이라크 쿠웨이트에서 철수.
미국 조지 H. W. 부시 대통령과 소련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전략무기감축협정 (START I)’ 서명. 2001년까지 전략 미사일 보유수를 80% 축소
일련정종에서 SGI 파문
브라질 SGI 아마존 생태계 보존을 목표로 아마조나스州 마나우스에 '아마존 자연환경센터' 설립.
UN 캄보디아 임시 통치기구(UNTAC)의 요청으로 창가학회 청년부는 자유공정선거(1993)를 통한 캄보디아 부흥을 지원하고자 30만대의 중고 라디오를 지원한다.
SGI 헌장 발표
중국 루쉰 박물관 소장 산스크리트어 법화경 사진판과 로마자판 출판. 창가학회판 법화경사본시리즈 초판 발행
핵무기 철폐를 위해 ‘핵시대평화재단(Nuclear Age Peace Foundation)’이 추진한 '어볼리션(Abolition) 2000'을 지원하고자 SGI는 1,300만 명의 핵폐기 서명을 담은 탄원서를 뉴욕 UN본부에 전달.
미국SGI 청년부가 주도한 ‘폭력에 승리한다(Victory over Violence) 운동’ 시작. 미국사회 나아가 전 세계 폭력문제의 뿌리를 밝혀내고 해결하자는 풀뿌리 운동. 개인과 공동체의 삶에서부터 변화를 일으키자는 비폭력운동.
미국 소카대학교 창립 (캘리포니아 알리소 비에호)
브라질 소카학원 창립 (브라질, 상 파울로)
2002년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된 ‘지속가능개발 세계정상회의’에 대표단 파견과 함께 '지구혁명을 향한 도전-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제언 발표.
2004 노벨평화상 수상자 케냐의 환경운동가 왕가리 마타이와 도쿄에서 회담
UN개혁안 ‘유엔의 역량강화와 사명완수’ 제언을 제출. 핵무기 전면금지를 지지하는 여론을 활성화하기 위해 '핵무기폐절을 위한 민중행동의 10년' 운동을 창설
중국 베이징 사범대학교 명예교수칭호 수여. 200번째 명예학위
일본을 국빈방문 중인 중국 원자바오 (溫家寶) 총리와 회담.
창가학원 행복유치원 창립 (한국, 서울)
타이완 타이페이 투청市 통산 500번째 명예시민증 수여
일본을 국빈 방문 중인 후진타오(胡锦涛) 중국 국가 수석과 회담.
미국 오클라호마 명예시민증 수여. 통산 600번째 명예시민증
덴마크 사우스대학교에서 명예박사학위 수여. 250번째 명예학술 칭호.
1957년 9월 8일 도다 조세이의 원수폭금지선언을 기념하여 핵무기 폐기를 위한 구체적 5단계 제언 '핵무기 없는 세계를 향한 연대' 발표.
매사추세츠대학교 보스턴캠퍼스 SGI 회장에게 '명예인문학박사' 학위 수여. 300번째 명예학술 칭호
브라질 파라州 산타렘市 명예시민증 수여. 명예시민증 700번째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UN 지속가능한 개발회의(리우+20) 개최와 더불어 ‘지속가능한 지구사회로 가는 길’ 제언 발표. 지속가능한 지구사회를 위해서는 개인과 공동체가 변혁의 주체임을 강조.
테러리스트 미국 뉴욕 무역센터와 워싱턴 DC 펜타곤 빌딩 공격
SGI와 지구헌장 주최 '희망의 씨앗전: 지속가능성의 전망, 변혁을 향한 발걸음' 전시가 2002년 요하네스버그 '지구환경서밋’에서 개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의 노력을 담은 환경 다큐멘터리 ‘조용한 혁명’ 공식 상영.
미군의 이라크 침공
SGI 회원국 190개국으로 성장
SGI의 날 30주년. 회원수 천이백만 명에 달함.
창가학회 창립 75주년
하라다 미노루 창가학회 제6대 회장 취임.
아일랜드 신페인당의 게리 아담즈와 민주연합당의 이언 페이즐리 사이의 역사적인 첫 만남이 이루어짐. 공동정부 구상에 합의. 오랫동안 지속된 북아일랜드 갈등 종결.
SGI ‘핵무기폐절을 위한 민중행동의 10년’운동 홈페이지 오픈. 청년교육을 목표로 실시한 시민사회포럼에서 ‘도다 조세이 원수폭금지선언 50주년’을 기념하여 “폭력의 문화에서 평화의 문화로: 인간정신의 변혁” 전시회 실시. (뉴욕 쿠퍼 유니온)
100년 만의 세계 최대 금융위기, 최악의 경제침체로 기록되는 미국의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의 몰락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러시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이 ‘전략무기 감축협정(START)’에 서명. (1991년 협정안 대체) 양국 모두 핵탄두를 1/3 감축하기로 합의.
SGI와 지구헌장 공동주최 '희망의 씨앗 : 지속 가능성의 비전, 변화를 향한 발걸음' 전시회 시작. 전시는 지속가능과 인간의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둔다.
미국 이라크 전쟁 공식 종전 선언.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UN지속가능발전 정상회의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