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이케다 다이사쿠 선생님은 평화운동가, 불교철학자, 교육자, 작가 그리고 시인으로 대화를 통한 평화 증진에 평생을 바쳤습니다.

동서(東西)의 예술과 정신성 1989. 6. 14 / 프랑스학사원 강연

오늘 3백수십년의 빛나는 전통과 격식을 지닌 프랑스학사원(學士院)에서 ‘동서의 예술과 정신성’이라는 연제(演題)로 강연할 기회를 가지게 된 것은, 저에게 최대의 영예입니다.

예술아카데미의 앙드레 자크만 회장에게 깊이 경의를 표하며 마르세르 란드후스키 사무총장을 비롯해 관계자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 바쁘신 데도 자리를 함께 해주신 여러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이 유서 깊은 연단에 몸을 두니 저의 가슴에 시상(詩想)이 한편 떠오릅니다.

유원(幽遠)한 바다 밑에는 깊이 깊이

뿜어 올리는 큰 샘이 있다

그것은 호수보다도 더욱 넓고 푸르고

청렬(淸冽)한 수맥이 용솟음쳐서 넘치고 넘치고

거기에는 절묘(絶妙)한 거문고 소리가

조용히 또 조용히 감돌아 울린다

이 태고의 시초부터 마르지 않는 맑은 샘물에

사람이 만약 닿으면

영원한 생명의 힘이 씻겨서 나오고

사람이 만약 퍼내면

자재무애(自在無碍)한 창조의 힘을 키운다

내면(內面)의 우주를 적시는 이 샘은

큰 생명의 바다로 흘러간다

오오 근원인 대우주(大宇宙)의 신비로운 샘이여

그 밑바닥을 알 수 없는 심연(深淵)으로부터

생명의 대해(大海)는 넘실거리고

역사는 용솟음친다

근처에서 거문고 소리가 연주하는

성스러운 그 장엄한 가락은

인간의 내적인 율동(律動)으로서

인류 보편(普遍)의 언어인가

사람은 듣지 못하는가

파도 사이에 떠다니는

영롱한 이 성스러운 교향(交響)을

사람은 보지 못하는가

혼(魂)의 깊숙이 펑펑 솟아나는 이 음률(音律)을

크고 심연한 불가사의한 창조의 샘을 ―

예술은 창조적 생명의 승화(昇華)

예로부터 예술이란 인간의 정신성의 어찌할 수 없는 발로(發露)이고, 여러가지 구체적인 ‘형체(形體)’로 결정(結晶)하면서, 거기에 기교를 부리지 않고 하나의 ‘전일(全一)한 것’을 표상(表象)하는 것이었습니다.

확실히 개개의 예술활동은 한정된 공간 내에서의 일입니다. 그러나 예술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혼에는 자신의 활동이라는 회로(回路)를 통해서, 우주적 생명이라고 할 수 있는 ‘전일(全一)한 것’과 연결되어 일체화(一體化)하려는 희구(希求)가 맥동합니다. 결국 자기라는 아주 작은 세계가 우주라는 아주 큰 세계와 융합하면서 만들어내는 다이나믹한 한 생명 — 거기에 살아 있는 예술이 있습니다.

인간은 육체적으로 ‘빵’을 원하는 것과 같이, 정신면에서는 그런 ‘전일(全一)한 것’에 잠겨서 그것을 호흡하고, 거기에서 소생의 활력을 이끌어내는 삶의 방식을 기축(基軸)으로 삼아왔습니다.

‘빵’이 육체의 신진대사(新陳代謝)에 불가결한 것과 같이, 예술 또한 그 효용이 ‘마음의 신진대사’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매우 적절하게 카타르시스(정화)라고 부른 것도 이 예술의 작용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왜 예술이 인간에게 그렇게까지도 본연적(本然的)인 영위(營爲)로 계속되었을까. 저는 그 가장 큰 요인을 예술이 가진 ‘결합의 힘’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괴테의 《파우스트》에는 “모든 것이 하나의 전체를 만들어낸다. 하나 하나가 서로 살아서 작용한다.”는 독백이 있습니다. 이것이 살아 있는 모든 것의 실상(實相)이라면,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인간과 우주까지도 결합시켜서 ‘전일한 것’을 지향하는 곳에 예술이 뛰어나게 예술다운 까닭이 있다고 할 것입니다.

시가(詩歌)든 회화(繪畵)든 음악이든 우리가 주옥같은 예술작품과 만났을 때의 그 감동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마치 우리 흉중(胸中)의 샘에 공감(共感)의 파동이 몇겹으로 퍼져서, 정묘(精妙)한 리듬이 시키는 대로 저 먼 하늘로 비상(飛翔)하는 것과 같은’ 생명의 충족감이며, 이것이야말로 자기확대의 확실한 실감(實感)입니다.

유한한 것은 무한한 것으로, 또 체험의 개별성은 ‘의미론적(意味論的) 우주’라고 할 수 있는 보편성의 세계로 명시(明示)합니다. 거기에 예술 특유의 ‘결합력’이 생생하게 발동(發動)한다고 저는 보고 싶습니다.

그 보편성의 세계는 옛날의 연극이 종교적 제의(祭儀)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상징되듯이, 항상 종교의 세계와 상즉불리(相卽不離)의 관계에 있었습니다. 해리슨 여사도 말하듯이 “인간을 교회로 향하게 하는 충동과 극장으로 향하게 하는 충동은, 출발점에서는 동일한 것”이었습니다.

이런 에피소드가 있습니다. 꽤 오래전의 일입니다만, 일본의 유명한 가부키(歌舞伎) 배우가 유럽을 유람할 때 루브르미술관에서 서양미술의 여러 명품을 감상했습니다. 그 후 감상은 “전부 야소(耶蘇: 그리스도교)가 아닌가.”라는 한마디였다고 합니다.

좀 지나치리만큼 솔직하게 평한 말입니다만, 서양미술이 얼마나 그리스도교의 전통에서 생명의 물을 얻었는가 하는 발견을 소박하게 나타낸 말입니다. 동양에서 온 여행자가 서양미술에서 몸으로 감득한 ‘전일한 것’이 ‘야소’라는 한마디에 응축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귀국의 노트르담이나 샤르트르대성당은 참으로 서구의 중세 고딕건축의 정화(精華)이며, 중세 그리스도교의 세계관을 구현(具現)한 ‘예술적 종합’이라는 것은 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즉 예술은 종교이고 종교는 예술이며, 둘 다 잘살려고 하는 인간의 정열이 스스로 지향하는 바였습니다.

그러면 동양에서는 어떤가. 예전에 폴 클로델이, 또 근년에는 저의 지우(知友)이며 일본에서 대담집을 출판한 고(故) 앙드레 말로 씨가 대단한 관심을 나타낸 일본인의 미의식도 종교성(宗敎性)을 짙게 띠고 있습니다.

일본의 종교적 전통은 그리스도교와 같은 엄격한 일신교(一神敎)와는 달리 애매한 부분이 많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로 씨가 서양과 다른 일본인의 전통적 미의식을 ‘내적실상(內的實相)’이라고 부를 때, 거기에는 우주나 자연과의 생명적인 공감(共感) 또는 일체감에 기초를 둔 종교적 배경을 분명히 감득(感得)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예전에 클로델이 서양과 서로 비교해서 ‘자연을 복종시키기보다 자신이 자연의 일원(一員)이 되는 것’이라고 위치를 부여한 동양적 또는 일본적 미의식은, 수십년의 세월이 지나서 말로 씨의 눈에 비친 것처럼 뿌리를 같이하고 있습니다

비록 ‘전일(全一)한 것’에의 지향성이 ‘전일한’ 것이라고 의식되지 않았다고 해도, 일본의 문화에 독자적인 색채를 더하여 왔습니다.

그래서 문제는 동서고금을 불문하고, 이렇게 예술과 종교를 통해서 발현(發現)되어온 ‘결합의 힘’이 사회의 근대화와 더불어 갑자기 쇠미(衰微)해졌다는 현실입니다.

저는 19세기 말엽 이래, 예민한 정신이 예감하고 계속해서 경고해온 것을 여기서 굳이 되풀이할 생각은 없습니다. 그러나 자연이나 우주에서 멀어지고 있는 인간은, 지금은 인간끼리의 유대마저도 단절될 위기에 있으며, 그 결과 고독은 이미 고독으로서, 즉 병이라고 의식하지 않게까지 되었습니다.

말할 것도 없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예술환경도, 근대의 흐름과 더불어 점점 크게 변해왔습니다.

예를 들면 원고용지나 타블로(캔버스) 앞에 혼자 마주하는 고독한 예술가와, 한편으로는 익명의 독자(讀者)이고 감상자인 대중(大衆)이라는 너무나 근대적인 예술환경에서, ‘결합의 힘’을 어디까지 완전히 발휘할 수 있을지, 거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습니다.

개개의 노력이나 재능으로 그 나름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해도, 무엇보다 거기에는 ‘결합의 힘’을 발현시킬 수 있는 유기적이고 공동체적인 ‘터전’이 빠져 있습니다. 그것은 예컨대 고대 그리스에서 반원(半圓)극장에 모인 관객들도 배우와 같이때로는 배우 이상으로 연극에 동참할 수 있었던 예술환경과는 상당히 다를 것입니다.

잃어가는 원시의 생명력을 구해서, 어떤 사람은 아득히 먼 고대인의 좋은 체격과 활달함을 생각하고, 어떤 사람은 근대화에 오염되지 않은 천지의 늠름한 에너지에 동경의 눈을 보내는 등 여러가지로 애썼습니다.

역설적이 됩니다만, 저에게는 19세기 말부터 금세기에 걸쳐서 나타난 기라성과 같이 빛나는 거장들의 향연(饗宴)은, 마치 이런 시대의 심각한 불행에 여과되어서 생긴 결정(結晶)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현대에서는 자유롭게 그리고 다양하게 예술적 시도를 할 수 있게 된 반면, 보이는 것을 초월하여 더욱 멀리 돌진(突進)하는 힘도, 고향을 상실한 자기 혼(魂)의 분열을 복구하기를 절실하게 원하는 구심성(求心性)도 약해지고 희미해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여기서 저는 동양의 불법(佛法)이 설하는 ‘연(緣)’이라는 개념을 써서, ‘결합(結合)의 힘’을 ‘결연(結緣)의 힘’으로 바꾸어 놓으려고 합니다. 그렇게 하는 것이 오늘의 테마에 서서 문제가 있는 곳을 더욱 분명히 부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연을 맺는다’는 말에서 ‘연’은 불법(佛法)의 ‘연기설(緣起說)’의 개념에 따른 것입니다. 아시다시피 ‘연기설’은 석존 이래 불교의 장원(長遠)한 역사를 꿰뚫는 골격이라고 할 사고방식이었습니다. 즉 불교에서는 사회현상이든 자연현상이든, 무엇인가의 ‘연’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이며, 그 자체만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설합니다. 이것은 한마디로 말하면 ‘모든 사실은 관계성(關係性) 가운데서 생긴다’고 말을 바꿔도 좋습니다. 단지 관계성이라 하면 공간적인 이미지가 강합니다만, 그것에 비해서 불교의 ‘연기’는 시간의 요소도 가해진 다차원적(多次元的)인 방식이 됩니다.

클로델이나 말로를 매료시킨, 자연과 공감하며 공생하는 일본인의 미의식 근저에는 원시적인 애니미즘이라는 요인도 있습니다만, 더욱 깊게 불교적 전통에 인(因)을 가진 ‘연기관’도 놓쳐서는 안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덧붙여서 일본의 전통적 예술인 차(茶)나 꽃꽂이, 정원, 맹장지(盲障紙)에 그린 그림, 병풍 등은 그 자체로서 가치나 의미를 가진다기보다도, 어울리는 생활공간의 ‘터전’ 가운데에 위치를 차지함으로써 비로소 그 본래의 빛을 발휘한다 — 즉 ‘터전’에 ‘결연(結緣)’함으로써 가치나 의미가 생겨난 것입니다.

렌카(連歌)나 하이카이(俳諧) 등도 본래 많은 사람이 모이는 ‘터전’ 없이는 성립되지 않는 예술이었다는 것도 부언(附言)해 두고자 합니다.

그런데 이런 ‘결연’에 의해서 일어나는 일체 사상(事象)의 실상(實相)을 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는 ‘공(空)’이라고 설합니다. 이 ‘공(空)’의 개념을 ‘무(無)’와 동일시하는 경향은 아직 불식(拂拭)되었다고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이 점에 관해서는 불교 측의 책임도 있고, 특히 세속적 가치나 욕망을 부정해버림으로써 깨달음의 경위(境位)를 구한 이른바 소승불교(小乘佛敎)는 니힐리즘과 두드러지게 가까운 요소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승불교에서 설하는 ‘공’의 개념은 니힐리스틱하고 정적(靜的)인 소승적 개념과는 180도 양상을 달리합니다. 그것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끊임없이 약동하는 다이나믹한 생명의 작용 그 자체입니다.

여러분과 친근한 사람의 말을 빌린다면, 일체의 사상(事象)을 ‘영원한 상(相)의 하(下)’에서가 아니고 ‘지속(持續)하는 상(相)의 하(下)’로 인식하려고 한 베르그송의 생(生)의 철학 쪽이 훨씬 대승적(大乘的)인 ‘공’의 개념에 친밀하다고 해도 좋겠습니다.

저는 이 대승불교의 ‘공’이 안고 있는, 끊임없이 맥동하는 다이너미즘을 ‘창조적 생명’이라고 일컫고자 합니다.

그 생명은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한계를 항상 극복하고 극복해서, 작은 자기에서 큰 자기로 초극(超克)하려는 작업에 여념이 없습니다.

즉 우주 근원의 리듬과 공명화음(共鳴和音)에 귀를 기울이면서, 나날이 새로운 비약과 자기혁신을 목표로 하는 데에 그 면목이 있기 때문입니다.

10년 전 저는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르네 위그 씨와 대담집 《어둠은 새벽을 구해서》를 출판했습니다. 그 가운데서 위그 씨는 이 대승불교의 핵심부분을 적절하게도 ‘정신적 생명’이라고 위치를 부여하고 “우주가 목표로 하여 나아가는 미래의 창조적 행동에 우리를 연결시킨다.”고 깊은 이해와 공감을 나타냈습니다.

이 사실에 대해서 일본의 고명한 불교학자는 감탄하며 평가했습니다.

이 창조적 생명의 다이너미즘에 대해서 대승불교의 정수인 법화경(法華經)에는, 다각적이고 종합적으로 해명(解明)되어 있습니다. 본론에 비추어서, 그 점을 조금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법화경은 ‘생(生)’의 자재무변(自在無邊)한 다이너미즘

먼저 법화경에서는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나 무한(無限), 무변(無邊)한 생명의 전개가 개시(開示)되고 게다가 그 전개는 한 생명의 ‘지금’의 일순(一瞬)에 포섭(包攝)되어간다는 생명의 자재성(自在性)을 설했습니다.

법화경의 전반에는 삼라만상(제법諸法)은 근원의 일법(실상實相)에 귀일(歸一)하고, 그 법(法)과의 합일(合一)을 완수함으로써 삼라만상이 자기의 일념(一念)에 포함되고, 또 자기의 일념은 전 우주에 널리 편만(遍滿)해간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더욱 후반에서는 무시무종(無始無終)의 구원(久遠)의 부처를 설함으로써 생명의 영원성을 밝혔습니다. 그 위에 또 과거도 미래도 현재의 일순에 응축(凝縮)됩니다.

법화경은 전체를 통해서 공간적인 ‘합일’과 시간적 ‘응축’이 ‘무장애(無障碍)’라고 하는 창조적 생명의 다이너미즘을 형성하고 있다고 설합니다.

또 창조적 생명을 우리의 ‘삶의 태도’로 말한다면, 자기완성을 향한 한없는 능동적 실천으로 나타난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즉 법화경의 여러 경 중에서도 두드러진 특징은, 그 ‘보살도(菩薩道)’를 실천하는 터전을 거칠고 사나운 냉엄한 인간사회 가운데서 감연히 구하고, 그곳에서만이 자신의 생명이 연마되어 ‘소아(小我)’를 초월한 ‘대아(大我)’를 확립할 수 있다고 설한다는 점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는 법화경의 묘사에는 정말로 극적(劇的), 문학적, 회화적, 조각적 이미지가 넘쳐흐른다는 점도 언급하고자 합니다.

법화경 설법의 중심부분은 ‘허공회(虛空會)’라고 불리는 공중(空中)에서의 의식(儀式)입니다. 거기에서는 금, 은, 유리, 진주 등 일곱가지 보물로 장식된 거대한 보탑(寶塔)이 대공(大空)에 떠오릅니다. 그 대우주에 우뚝 솟은 ‘보탑’은 실은 장대하고 장엄한 생명을 상징합니다.

수량품(壽量品)이라는 경문이 묘사한 안온(安穩)한 세계의 모습은 — 천인(天人)이 충만하고, 정원의 숲도 당각(堂閣)도 보물로 장식되었고, 꽃이 피고 과실이 많이 열리고, 사람이 놀고 즐기며, 공중에서는 천고(天鼓)가 울리고, 아름다운 꽃이 비와 같이 쏟아진다 — 고 했습니다.

이것은 동화의 세계를 방불케 하는, 생명의 시와 음악과 회화의 경연(競演)이라고 해도 좋습니다. 종교사(宗敎史)에서는 종교와 예술이 대립하고 상극(相克)하는 경우도 자주 보입니다만, 법화경에서 상상력을 종횡(縱橫)으로 구사하는 것은 양자(兩者)가 서로 보완하고 유화(宥和)하는 관계를 잘 나타냅니다.

이런 점에서도 명백한 것과 같이, 법화경에서 창조적 생명의 다이나믹한 전개에는, 인간이 영위하는 여러가지 차원 — 키에르케고르식으로 말하면 종교적, 윤리적, 미적(美的) 차원이 모두 포섭(包攝)되어 있습니다.그것들이 혼연일체가 되어서 우주적 유동(流動)이라고 할 수 있는 다이너미즘을 형성하고, 도태(淘汰)작용과 승화(昇華)작용을 거듭한 맨 마지막에는 어떤 이미지가 부각될까요. 마치 여러가지 색채를 칠한 팽이가 빨리 돌수록 한없이 아름다운 한 색에 가까워지는 것과 같이 —.

저는 여기서 법화경의 정수를 아주 간명하게 표현한 말을 상기합니다. 그것은 “가섭존자(迦葉尊者)가 아닐지라도 춤을 추어라. 사리불(舍利弗)이 아니더라도 일어서서 춤을 추어라. 상행보살(上行菩薩)이 대지(大地)에서 나오실 때에는 춤추며 나오셨느니라.”(어서 1300쪽)라는 말입니다.

가섭이나 사리불은 석존의 뛰어난 제자이고 이른바 대표적인 존재입니다. 그들을 무용(舞踊)에 비교하는 것은 법화경 설법을 들었을 때 그들의 환희의 고양(高揚)을 의미합니다. 결국 우주의 심오한 진리와 인생 최고의 가치를 알 게 된 생명의 기쁨을 묘사한 것이라고 해도 좋습니다.

상행보살(上行菩薩)이란 법화경을 설법(說法)하는 자리에서 석존이 멸후(滅後)의 홍법(弘法)을 의탁(依託)하기 위해 대지 밑에서 불러냈다고 하는 무수한 보살의 대표자입니다.

그 불법상의 의의는 차치하고, 그 보살들이 대지에서 용출(涌出)하는 모양을 ‘춤을 춘다’ ‘일어서서 춤을 춘다’ ‘춤추며 나오셨느니라’라고, 강력하고 생기가 충만한 예술적 이미지로 상징한 데서 저는 깊은 감동을 느낍니다. 거기에는 끊임없이 맥동하는 창조적 생명의 다이너미즘을 훌륭하게 상징하고 있습니다.

저는 ‘상징’이라는 말을 쓰면서 귀국의 빛나는 문학적 전통인 ‘상징주의(象徵主義)’를 마음에 떠올립니다. 법화경은 하나의 생명회전(生命回轉)의 드라마로 설해져 있는데, ‘춤추며 나오셨느니라’ 같은 표현도 사실을 객관적으로 묘사했다기보다는 창조적 생명을 뛰어나게 상징한 묘출(描出)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살이 약동하면서 출현하는 모양은 한마디로 말하면 환희를 상징합니다. 그것은 단순한 환희가 아니고 우주 본원의 법칙에 따른 인생의 깊은 탐구와 사회에 대한 한없는 공헌을 통한 ‘환희 중의 대환희’입니다.

그 상징성의 순도를 생각하면 저는 폴 발레리의 향기 높은 대화편(對話篇) 《혼과 무용》 가운데서, 소크라테스가 춤추는 여인의 모습을 응결(凝結)해서 말한 아름다운 한 구절을 상기합니다.

— “생명의 저 고양(高揚)과 진동(振動), 저 긴장의 지배(支配), 될 수 있는 한 민첩한 자기자신 가운데서 저 황홀상태는 불길 같은 공덕(功德)과 힘을 갖고, 수치나 병고(病苦)나 어리석음 등 생활의 단조로운 양식은 그 가운데서 타버려, 여인(女人)의 안에 있는 신(神)과 같이 존귀한 것을, 우리의 눈에 빛내주고 있지 않은가.”

원래 양자(兩者)를 같은 차원에서 논할 수 없을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움직이는 것의 구극(究極)에 언어라는 형태를 부여하고자 상징성의 순도를 높여갈 때, 뜻밖에 상상력이 ‘춤’의 이미지를 본뜬 연상작용(連想作用)으로 이끌린다는 것은 대단히 흥미 깊은 것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근대의 고독’을 뛰어넘는 ‘정신혁명’을 향한 태동

어쨌든 현대는 인류사상 전에 없던 시련과 변동의 시대를 맞이하였습니다. 그런 가운데서 많은 사람의 눈이 내면으로 향하고 있는 것도 명백합니다.

만년의 발레리는 기분 나쁜 군화소리를 들으면서 ‘정신연맹(精神連盟)’을 위해 분주하게 뛰어다녔습니다. 말로 씨도 저와 대화하면서 미래세기의 ‘정신혁명’의 전조(前兆)에 귀를 기울였습니다.

오늘의 테마에 서서 말하면, 창조적 생명이 개화(開花)하고 발현(發現)하는 운동은, 인간의 내면적 변혁을 통해서 반드시 그런 ‘정신연맹’ ‘정신혁명’에 활짝 길을 열어갈 것입니다. 그것은 또 예술을 비롯해 인간의 모든 영위를 활성화하는 원천이 될 것임을 저는 믿습니다.

끝으로 저의 서투른 ‘예술송(藝術頌)’을 읊도록 하겠습니다.

오오 예술!

오오 예술이여!

그대는 영원한 광채(光彩)

문명(文明)과 문명의 꺼지지 않는 비명(碑銘)

오오 예술!

오오 예술이여!

그대는 생명의 개가(凱歌)

‘자유’와 ‘창조’와 ‘환희’의

오오 예술!

오오 예술이여!

그대는 깊은 기원(祈願)

근원이 되는 것에 대한 성스러운 합체(合體)

오오 예술!

오오 예술이여!

그대는 우애(友愛)의 광장

만인이 모여서 서로 악수하며 미소를 주고받는다

일찍이 서(西)의 문인(文人)은 읊었다

“동은 동, 서는 서

그러나 양 거인(巨人)이 상견(相見)할 때

동서(東西)도 국경도 태생도 있을 수 없다.”고

때를 같이해서 동(東)의 시인도 읊었다.

“동양도 서양도

인류의 제단(祭壇) 앞에서 혼사(婚事)하여라.”라고

지금 예술은

그 손을 가지고 혼(魂)을 유인하다

마음이 편해지는 치유(治癒)의 숲으로

하늘을 나는 상상력의 화원(花園)으로

까마득히 높은 영지(英智)의 누각(樓閣)으로

그리고

지구문명의 아득히 먼 지평(地平)으로 ―

이렇게 읊고 또 기원하면서, 오늘의 기념스피치를 마치겠습니다. (큰 박수)